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14 [ 코드숨 ] 11주차 회고록 dal-lab.com/2019/09/18/today-i-learned/ 오늘 나는 무엇을 배웠나? 오늘 나는 무엇을 배웠나? 2019년 9월 18일 - 아샬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컨설팅 업체인 thoughtbot이란 곳이 있습니다. Ruby on Rails가 유행하던 시절에 여러 기술을 공유해서 유명한 곳이죠. Active Storage dal-lab.com 회고를 쓰기 앞서서, TIL ( Today I Leaned)에 대한 내용, 특히 Three FS를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해야 합니다. 위의 달랩 홈페이지 아샬님의 글에서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서론 하하, 마음이 조급한지 게으른건지 계속적으로 바쁜 저녁시간을 보내느라 굉장히 늦어졌습니다. 그럼에도 지난 github의 기록들을 돌아보며 .. 2021. 4. 16. [ 코드숨 ] 10주차 회고록 dal-lab.com/2019/09/18/today-i-learned/ 오늘 나는 무엇을 배웠나? 오늘 나는 무엇을 배웠나? 2019년 9월 18일 - 아샬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컨설팅 업체인 thoughtbot이란 곳이 있습니다. Ruby on Rails가 유행하던 시절에 여러 기술을 공유해서 유명한 곳이죠. Active Storage dal-lab.com 회고를 쓰기 앞서서, TIL ( Today I Leaned)에 대한 내용, 특히 Three FS를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해야 합니다. 위의 달랩 홈페이지 아샬님의 글에서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서론 윤석님, 이번 한주간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 이번 회고를 굉장히 늦게 썼습니다. 계속 쓸 내용이 없다고 생각하다가 마주하려니 상당히 힘드.. 2021. 4. 6. [ 코드숨 ] 9주차 회고록 dal-lab.com/2019/09/18/today-i-learned/ 오늘 나는 무엇을 배웠나? 오늘 나는 무엇을 배웠나? 2019년 9월 18일 - 아샬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컨설팅 업체인 thoughtbot이란 곳이 있습니다. Ruby on Rails가 유행하던 시절에 여러 기술을 공유해서 유명한 곳이죠. Active Storage dal-lab.com 회고를 쓰기 앞서서, TIL ( Today I Leaned)에 대한 내용, 특히 Three FS를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해야 합니다. 위의 달랩 홈페이지 아샬님의 글에서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서론 종립님, 이번 한주간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 2달이 끝나고 이번주부터 프로젝트를 새로 시작합니다. 그런데 과연 2달 전에 했다면 어땠을까.. 2021. 3. 28. 2103024_TIL * 어제의 다짐 - 사용자 회원가입 => 사용자 회원가입 구현 완료. + 인증메일 중간까지 *오늘 한 일 - 사용자 회원가입을 구현했습니다. 이름, 닉네임, 비밀번호, 이메일, 프로필사진을 가지고 있습니다. 테스트코드를 기반으로 시작했습니다. 유효성 검사를 통해서 일정 사이즈를 가지게 했으며 이메일과 닉네임의 경우는 이미 존재하는 것이 있는지 검사를 통해, 존재한다면 예외를 던집니다. 이메일을 검사하기 위해 인증번호를 보내는 것도 중간까지 구현했습니다. - 프런트는 mustache로 합니다. 이동욱님이 쓰신 책에서 mustache가 접근성이 좋고 쉽다고 하였습니다. jsp는 spring boot에서 jar를 만들 수 없으며, thymleaf경우 러닝커브가 mustache보다 높다고 합니다. 기존에 간단한.. 2021. 3. 25. 210323_TIL * 어제의 다짐 - 새로운 프로젝트 ToDo리스트 만들기 *오늘 한 일 - 새로운 프로젝트의 한주간 ToDo리스트를 작성하였습니다. 작게는 IT 서적 스터디 모임에서 크게는 일반 도서 스터디모임을 계획하였습니다. 점점 더 IT시장이 커지고, 좋은 책들이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책을 가지고 모임을 할 수 있도록 계획을 했습니다. 먼저 이번주는 사용자 회원가입, 방 생성, 책 검색 등을 구현할 예정입니다. *내일 할 일 - 사용자 회원가입 2021. 3. 25. 210322_TIL * 어제의 다짐 - jar 생성후 window desktop 도커에 등록하기 => intellij Terminal에서 mariadb, jar 도커 실행 완료 *오늘 한 일 - mysql을 재설치했습니다. 기존에 있던 mysql에서 root 권한문제를 계속 수정하던 중에 오류가 나서 아예 지워버리고 다시 만들었습니다. 기본적으로 root는 localhost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root 권한을 % 즉, 전체 접근가능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이후 database를 설정해야 했는데 test 를 생성했습니다. 특히 한글버전 호환을 위하여 utf-8설정을 잊지 않았습니다. 신기한 것은, 제 노트북에 깔린 mysql의 설정에 따라서 docker의 mariadb가 영향을 받는다는 것입니.. 2021. 3. 23. Git vs GitHub 차이점 개요 개발자는 Java와 JavaScript의 관련성이 ham과 hamster 만큼 서로 다른다는 것을 압니다. 그런데, 막상 Git과 GitHub가 어떤 차이야?라고 물어본다면, 아직 많은 사람들이 정확하게 차이를 알지 못합니다. 채용공고에 "Git/GitHub의 차이점을 아는 분" 이 있는 회사도 있습니다. 그래서 차이점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버전 관리 버전 관리란 시간에 따라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기록하는 것입니다. 버전 관리 시스템은 이전 버전으로 복구하거나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버전 관리는 프로젝트의 수정이 있을 때마다 snapshot을 찍습니다. 따라서 필요한 것을 복구하거나 비교할 때 다양한 버전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를 수정하다가 모든 텍스트 정.. 2021. 3. 22. [ 코드숨 ] 8주차 회고록 dal-lab.com/2019/09/18/today-i-learned/ 오늘 나는 무엇을 배웠나? 오늘 나는 무엇을 배웠나? 2019년 9월 18일 - 아샬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컨설팅 업체인 thoughtbot이란 곳이 있습니다. Ruby on Rails가 유행하던 시절에 여러 기술을 공유해서 유명한 곳이죠. Active Storage dal-lab.com 회고를 쓰기 앞서서, TIL ( Today I Leaned)에 대한 내용, 특히 Three FS를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해야 합니다. 위의 달랩 홈페이지 아샬님의 글에서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내맘대로 서론 먼저, 윤석님 마지막 8주차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 8주간,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시간이었습니다. 긴장이 풀릴 때도 있었지만.. 2021. 3. 22. 210319_TIL * 어제의 다짐 - jar 생성후 window desktop 도커에 등록하기 => jar 배포 이전에 도커 개념과 사용법 공부 *오늘 한 일 - 도커의 장점에 대해 공식문서를 보았습니다. 컨테이너는 코드와 의존성을 모두 결합한 하나의 소프트웨어 단위라는 것, 그래서 도커 컨테이너 이미지는 독립적이고 빠르게 실행가능한 단위로 런타임 시, 도커 엔진에서 실행될 때 컨테이너로 됩니다. 이 컨테이너들은 실행환경으로 독립적으로 빠르고 균일하게 작동하는 간편함이 있습니다. - 또한 도커를 사용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Dockerfile을 build를 통해 이미지를 만들거나, docker hub에 있는 이미지를 가져옵니다. 이미지는 run을 통해서 프로세스 실행을 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docker .. 2021. 3. 22. 이전 1 ··· 55 56 57 58 59 60 61 ··· 8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