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14 210318_TIL * 어제의 다짐 - 사용자에 대한 snippet 작성하기 => 상품에 이어서 사용자에 대한 테스트 작성 및 .adoc에 snippet 설명 추가 - docker 배포 간단하게 작업하기 => 일단 ./gradlew build나 ./gradlew assemble으로 jar를 만들어봤어야 했는데, 오류를 수정하느라 docker는 다루지 못함 *오늘 한 일 - 사용자 테스트에 document 코드를 추가했습니다. http 요청, 응답 부분에 필드명(parameterWith), 타입(type). 설명(description) 3가지를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 어제 상품에 이어서 오늘 사용자에 대한 리팩토링을 완료했습니다. - snippet를 활용하여 asciidocs를 작성했습니다. 사용자의 필드명, 타입, 설명이.. 2021. 3. 19. 210317_TIL * 어제의 다짐 - Spring Docs 문서화하기 => @AutoConfigureRestDocs가 제대로 되지 않았던 문제를 해결하고 상품에 대한 문서화 완료 *오늘 한 일 - Describe-Context-It 때문에 @AutoConfigureRestDocs가 되지 않아 제거하였습니다. 기존에 있던 테스트코드 방식 작성 때문에 문서화 어노테이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오류 메세지를 보았지만 원인에 대한 해결책도 잘 나오지 않아서 수정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작은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앞으로는 원인이 예상되는 곳을 잘 예측하고 빠르게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 테스트에 document 코드를 추가했습니다. http 요청, 응답 부분에 필드명(parameterWith), 타입(type). 설.. 2021. 3. 18. 03016_TIL * 어제의 다짐 - 이펙티브 자바 1강 => 자바 asciidocs의 실행이 제대로 되지 않아 못함 - 자바 주석 달기 => controller, service에만 있던 주석들을 다른 곳도 확정해서 작성 - docker 사용해보고 실행확인하기 => 자바 asciidocs의 실행이 제대로 되지 않아 못함 *오늘 한 일 -javadocs를 위한 주석을 추가하였습니다. ./gradlew javadoc을 통해 우리가 documentation을 보는 것처럼 나의 프로젝트를 공식 문서 형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controller, service에만 일부 주석이 있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주석을 추가하였습니다. 한글로 작성하였으며, 방식은 공식문서에서 영어를 한글로 번역했을 때 가장 자연스러우면서 추상적인 .. 2021. 3. 17. 210315_TIL *오늘 한 일 - javadocs, spring rest docs(asciidocs)에 대해 확인하였다. 2개 모두 나의 주석을 api문서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이다. gradle을 이용해서 ./gradlew javadoc 혹은 ./gradlew asciidoc을 통해서 build 안에 index 파일을 만들 수 있다. asciidoc같은 경우, 직접 내가 문서를 작업하는데, 관련된 문법 공부가 필요하다. - docker를 통해 배포하는 사전 작업을 배웠다. docker를 사용하면 경량화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다. 버전관리가 가능하고 쉽게 시작과 제거가 가능하다. mariadb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docker를 가동하는 실습까지 해보았다. *내일 할 일 -.. 2021. 3. 16. [ 코드숨 ] 7주차 회고록 dal-lab.com/2019/09/18/today-i-learned/ 오늘 나는 무엇을 배웠나? 오늘 나는 무엇을 배웠나? 2019년 9월 18일 - 아샬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컨설팅 업체인 thoughtbot이란 곳이 있습니다. Ruby on Rails가 유행하던 시절에 여러 기술을 공유해서 유명한 곳이죠. Active Storage dal-lab.com 회고를 쓰기 앞서서, TIL ( Today I Leaned)에 대한 내용, 특히 Three FS를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해야 합니다. 위의 달랩 홈페이지 아샬님의 글에서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내맘대로 서론 먼저, 종립님 이번주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 3월로 접어들면서 이제 코딩이 좀 더 익숙해지며... 즐거운 마음으로 했습니다. 한.. 2021. 3. 15. 2103012_TIL * 어제의 다짐 - 피드백에 따라 수정하기 => 커밋 메세지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다. 변경 이전, 변경 과정, 변경 결과 3가지의 과정에 따라서 나타내도록 하였다. - Effective Java 1장 모두 블로그에 올리기 => 시간관계상 못함 - Clean Code 5장, 자바 가이드라인을 통해 전반적으로 형식 수정하기 => 시간관계상 못함 - @Component와 @Configuration 차이 정리 => 공식문서를 읽고 차이 확인 *오늘 한 일 - 커밋 메세지에 대한 가이드를 열심히 작성하였다. 특히, 커밋 제목과 내용에 대해 어떻게 작성하면 좋을지에 대해 생각하고 정리하였다. 그 과정에서 내가 이전에 작성했던 메세지를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지 직접 수정도 하였다. 더욱 커밋 메세지를 잘 작성하기 위해.. 2021. 3. 13. 210311_TIL * 어제의 다짐 - 테스트 마저 완성하기 => 테스트가 깨지는 문제가 심각하여 고치느라 하루의 대부분을 소요 - Effective 자바 1장 블로그 마저 올리기 - crsf, frameOption 방지법에 대해 살펴보기 - @Component와 @Configuration 차이 정리 => 테스트를 하면서 제대로 확인하지 못함, 다음날 할 예정 *오늘 한 일 - 암호화를 한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테스트를 작성하였다. 테스트에 추가되야 하는 가장 큰 특징은 토큰 검사에 대한 부분이었다. 토큰을 검사하는 서비스 레이어에서 제대로 변환이 되지 않아서 굉장히 시간이 많아 소요되었다. 또한 UTF-8로 설정하는 것을 filter에 연결해서 하였는데, 새로 사용하는 filter와 충돌해서 그런지 제대로 사용할 수가 없어.. 2021. 3. 12. 210310_TIL * 어제의 다짐 - 프로젝트 이해하고 개선하기 => 오전에 프로젝트에 대한 비밀번호 암호와 이해하고 코드수정 완료 - Effective Java 1장 블로그에 정리하기 => Item1~5까지 정리. Item1이 양이 워낙 많아서 많은 시간 소요 - 이번 과제와 본래의 프로젝트와 통합하기기 => 로직은 통합하였으나 테스트는 통합하던 중에 수요일끝 *오늘 한 일 - 프로젝트에서 비밀번호를 암호화하도록 했다. BCryption()이라는 것을 이용해서 비밀번호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도록 하였다. DB에 들어가는 값은 암호화된 비밀번호이기 때문에, 보안성이 좋다. 이 암호화된 비밀번호는 PasswordEncoder의 matches()라는 메서드를 이용해서 다시 검증하는 과정이 있으므로 안전하게 관리가 가능하다. - .. 2021. 3. 11. [ 아이템 5 ] 자원을 직접 명시하지 말고 의존 객체 주입을 사용하라 많은 클래스가 하나 이상의 자원에 의존한다. 맞춤법 검사기는 사전(dictionary)에 의존하는데, 이런 클래스를 정적 유틸리티 클래스(아이템4)로 구현한 모습을 가끔 볼 수 있다. *5-1 정적 유틸리티를 잘못 사용한 예 - 유연하지 않고 테스트하기 어렵다 public class SpellChecker { private static final Lexicon dictionary = ...; private SpellChecker() {} //객체 생성 방지 public static boolean isValid(String word) { ... } public static List suggestions(String typo) { ... } } 비슷하게, 싱글턴(아이템3)으로 구현하는 경우도 흔하다. *5-.. 2021. 3. 10.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 8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