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14 jar war 차이점 *개요 spring 프로젝트를 서버에 배포할 때 jar, war 2가지 방법으로 배포 할 수 있습니다. 각 방식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구조가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봅니다. From Java Tips: Difference between ear jar and war files 둘다 모두 java jar를 사용해서 압축된 것이다. 이 파일들은 다른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jar files: libraries, resources, accessories files 처럼 설정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war files: 어떠한 servlet/jsp container에도 배포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jsp, html, javascript 혹은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파일들이 포함된다. 위 설명에 따.. 2022. 4. 26.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4/13) 4/13(수) 분량 : topic 1~15 3인 토의 내용 : 각자 깨진창문은 그대로 두지 않기로 하였다. 또한 적당히 괜찮은 소프트웨어를 위해 코드가 정상 작동한다면 만족스럽지 않더라도 일정 부분은 지나치기로 하였다. 또한 코딩을 작성하고 항상 ETC를 떠올려본다. 책에서 나온 도전해볼 것을 하나 선정해서 실제로 도전해보고 도전한 과정을 에세이로 작업한다. - 목표 ETC & 깨진창문 & 적당히 괜찮은 소프트웨어를 균형있게 고려해서 기존코드에 기능추가를 잘하기 - 어떻게 했는가 한 개발 요청을 예시로...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변경하기 쉬운 구조인가? 기존의 코드를 얼마나 수정해야하는가? 고민하였다. 해당 부분 개발 요구는 1년 전이 마지막이었으며 또한 앞으로도 바뀔 일이 없다(단언할 수는 없다!) 결.. 2022. 4. 20. TIL_220413 1. Facts(사실, 객관) -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Topic 1~15 독서 스터디 - 설문조사 개선 개발 - 사용설명서 게시판 오픈 - rest docs interview 생성에 추가 2. Feelings(느낌, 주관) 설문조사 개선 개발을 하면서 당황스러웠습니다. 굉장히 복잡하고 난해한 코드들로 만들어져 있어서 처음에 쉽게 구조를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프로그래머의 뇌 책에서 읽은대로 인지부하를 경험했습니다. 낯설기 때문에 잘 모른다는 당황감보다도 내가 지금 인지부하 상황이구나를 인식하고 찬찬히 분석해야지 라고 생각한 것만으로도 에너지 소모가 적고 훨씬 핵심에 집중할 수 있는 기반이 됐습니다. 그렇게 하나씩 분석하고, 어떻게 URL 호출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였습니다. 중간중간 애매하거나 난해한 부분을.. 2022. 4. 15. TIL_220412 1. Facts(사실, 객관) -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Topic 1~5 - 네이버 EP 개선 - 가격 노출 프로세스 개선 - 외주 개발자 설치 관련 문서화 2. Feelings(느낌, 주관) 네이버 ep를 새롭게 개선했습니다. 이전에 만들어진 로직에서 추가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새롭게 원두와 안마의자가 추가되어 분류를 넣어줬습니다. 네이버에서 검색할 때 네이버 카테고리가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른 업체와 경쟁을 하는데 제대로 카테고리가 보여지지 않으면 경쟁력을 바로 잃어버릴 것입니다.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책을 읽었습니다. 내가 얼마나 주체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사람이며, 팀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지를 깨달았습니다. 가격 노출 프로세스를 개선했습니다. 오늘 노출 종료가 되는 기능을 만들었습니다... 2022. 4. 14. TIL_220411 1. Facts(사실, 객관) - SQL 레벨업 읽고 정리 - 필터정보 수정 - 필터 수정 요청 문서화 2. Feelings(느낌, 주관) 문서화를 시작했습니다. 첫째는 내가 까먹지 않기 위해서 입니다. 계속 관련된 일을 한다면 당연하게 기억하지만, 조금이라도 관심에서 멀어지거나 안하면 자연스럽게 놓치는 부분들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디테일들을 힘겹게 기억하지 않고 바로 기억하기 위해서 기록합니다. 둘째는 다른 사람에게 편하게 인수인계하기 위해서입니다. 언젠간 나의 공백일 때, 혹은 내가 다른 일을 맡을 때 대신 일할 사람이 필요합니다. 그럴 때, 해당 일을 잘 이해하고 빠르게 습득하기 위해서 정리합니다 SQL 레벨업을 읽고 효율적인 SQL문에 대해서 새롭게 배웠습니다. 특히, index 사용법과 결합대신.. 2022. 4. 11. AWS 새는 비용 막기 분명, 승리의 환불을 모두 받았는데도 약 5000원의 비용이 발생했습니다. 확연히 줄은 비용이지만 여전히 사용하지 않는 금액이라 완전히 제거하기로 맘먹었습니다. 결제대시보드로 가니 어디서 비용이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엄청난 비용의 원흉이었던 Elastic Load Balancing은 모두 종료하여 비용 발생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Key Management Service??? 무료 3.3 달러를 기록한 이 녀석.... 검색해서 삭제해버렸습니다. 지역별로 생성을 해서 미국과 서울 총 2개에 생성되어 있는 3개를 삭제했습니다. Elastic Compute Cloud는 어떠한 지역을 확인해도 모두 삭제가 되어있어서 못찾았습니다. ㅠㅠ Related Database Service도 자세히 다시 보니.. 2022. 4. 11. SQL 레벨업 * 배경 통계 화면 쿼리를 만드는데, GROUP BY를 통한 COUNT를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다양한 서브쿼리들을 사용하면서 조금 더 SQL을 효율적이고 잘 작성하고 싶어졌습니다. 그래서 서점에서 SQL책을 둘러보다가, 발견하여 구매했습니다. 특히, INDEX 관련한 설명이 잘 나와있고 중급단계의 내용들이 잘 정리되어 있어서 좋았습니다. https://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88968482519 SQL 레벨업 - 교보문고 DB 성능 최적화를 위한 SQL 실전 가이드 | 책 소개실무에 필요한 SQL 최적화!〈SQL 첫걸음〉으로 성공적인 입문을 마치고, 다음 고지를 바라보는 이들을 위한 한 권!.. 2022. 4. 11. 프로그래머의 뇌 - 요약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프로그래밍 기술과 습관을 어떻게 향상할 수 있는지 안내하는 책이다. 어떻게 장기기억에 효율적으로 저장 할 것인가, 인지부하를 줄일 것인가가 메인이다. LTM, STM, 작업기억 공간 크게 3가지로 분류하여 프로그래밍 과정이 이루어진다. 몇개의 그룹으로 묶은 청크를 활용해 기억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오랜 시간을 두고 학습하면 기억이 더 오래간다. 추가 학습 없이 정보를 기억하려고 하는 것만으로도 더 많이 기억할 수 있다.(p.46) 기억하고자 하는 내용을 기존 기억과 연관 지으면 기억이 강화된다. 가독성이 좋은 코드를 만들면 인지부하가 줄어든다.(p.60)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하는 정신모델은 LTM에서 활용되며 복잡한 소스코드를 읽을 때, 잠재적 정신 모델의 어휘를 .. 2022. 3. 30. 프로그래머의 뇌 스터디 (3/9) *3/9(수) 21:00 ~ 22:40 1. 복잡한 문제를 풀어내가는 자신만의 방법은? - 그림을 그려서 도메인 처리 흐름을 파악한다(선행) - 본인만의 주석을 넣으며 어떻게 동작하는지 적어본다 - 다른 사람들에게 코드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 해본다 - 관련 테이블 관계도를 확인한다 - 모르는 부분은 다시 정리하는데, A,B,C 중에 무엇인지 모르겠다면 모두 적어보고 질문할 때 A,B,C 중에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질문한다 구체적으로 질문하면 생각외로 추가적인 정보들을 많이 얻는다. 2. 신입은 더 빨리 그 코드를 이해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하는가? 업무파악? -가장 기본적이면서 핵심 줄기를 먼저 잡는다 -핵심 줄기를 기준으로 좀 더 구체적인 내용 가지를 덧붙여 정리한다(마인드맵 형식) -이후에 예외.. 2022. 3. 9.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8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