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14 TIL_210811 1. Facts(사실, 객관) - Validation 어노테이션 직접 만들어보기 - 회사 새로운 업무에 대한 대면 커뮤니케이션 2. Feelings(느낌, 주관) - 스프링 어노테이션을 만들어보는 것을 블로그에 정리하면서, 생각보다 많이 쉽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차피 스프링에서 구현주는 @Retention, @Target, @interface 등을 활용하여 만들면 됐습니다. 한편으로 이 어노테이션들은 또 무슨 의미를 뜻하는지 궁금해서 공부했습니다. 스프링 관련해서 잘 사용하는것도 중요하지만 한두단계 더 깊이 들어가 이것이 어떻게 구성되었고 원리를 갖고 있는지 분석하고 공부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이들었고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 회사에서 추가업무 사항에 대해 커뮤니케이션을 했습니다. ddd주도 설계.. 2021. 8. 13. Filter vs Interceptor 차이 (Spring) 개요 Filter와 Interceptor는 모두 요청을 받을 때, 특정 조건으로 제한을 하거나 변경을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단순히 사용만 해보고 어디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확인했던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정리해보겠습니다. 그림에서 알아보는 Filter와 Interceptor Filter Filter는 Web Application에서 관리되며 Spring Framework에 속하지 않습니다. 로깅, UTF-8 설정에 이용되며, 또 하나의 대표적인 예는 Spring Security가 있습니다. Interceptor Interceptor는 DispatcherServlet 안에서 있으며, Spring의 Context에서 관리됩니다. 초록 배경화면을 보면 Intercepto.. 2021. 8. 13. Validation 어노테이션 직접 만들어보기 build.gradle에 추가한 spring-boot-starter-validation 덕분에 많은 Validaiton 어노테이션들을 사용했고 이것이 전부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알고보니 제가 직접 커스터마이징을 해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해당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의존성 추가 // Gradle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2. 어노테이션 생성 "yyyyMM" 형식으로 문자열을 입력했는지 알아보는 어노테이션을 만들고자 한다. 아래는 어노테이션을 만드는 가장 기초적인 방법으로 처음에는 굉장히 낯설겠지만 하나씩 이해하다보면 생각보다 직접 만드는게 어렵지 않다. @Constra.. 2021. 8. 12. TIL_210810 1. Facts(사실, 객관) - @Qualifier & @Resource & @Autowired 블로그 작성 - fastcampus 강의 annotation 알아보기 2. Feelings(느낌, 주관) - @Autowired를 당연시 Spring에서 주입하지만, 비슷한 기능들이 있음을 알았습니다. 분명 새로운 개념들이 존재한다는 것은 그 이유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다른 개념을 공부하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면 더욱 의미있는 공부가 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실제 강의에서 알려주는 부분은 아쉬웠으며, 스스로 공부하니 빈틈을 잘 메꿀 수 있었습니다. 항상 강의든 글이든 그것에 만족하지 않고 더욱 꼬리질문을 하거나 궁금한 것은 찾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 노력하려고 합니다. 3. Findings (배운 점.. 2021. 8. 12. @Qualifier & @Resource & @Autowired 문득,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들의 @Component등록을 보면서 @Qualfier와 @Resrouce를 살펴보게 되었다. @Autowired로 객체를 사용하고 싶을 때, Spring Container에 Type이 같은 객체들이 여러개 등록되어있다면, 어떤 것을 사용할지 명시해주어야 한다. public interface Party { } ==== package com.sourceallies.person; ... @Component public class Person implements Party { } === package com.sourceallies.organization; ... @Component public class Organization implements Party { } public .. 2021. 8. 12. TIL_210809 1. Facts(사실, 객관) - javascript 렛츠기릿 틱택토 강의 2. Feelings(느낌, 주관) - JS에서 2중 for문을 forEach로 바꾸고, 또 배열을 사용하는 경우 rowIndex와 cellIndex를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를 찾을 수 있음을 알았습니다. 다른 언어의 문법을 배우고 그것을 바탕으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재미있었습니다. 코딩에서 큰 그림의 핵심은 언어의 문법을 얼마나 잘 아는 것보다, 새로운 문제상황을 마주했을 때 어떻게 해결하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Java는 좋은 언어이지만 언제까지 web 로직만 짤 수는 없을 것입니다. docker와 jenkins, aws 등등 언어는 아니지만 새로운 개념을 받아들일 때 빠르게 핵심을 파악하고 공부할 수 있는 기초를 다시금.. 2021. 8. 12. TIL_210806 1. Facts(사실, 객관) - objectmapper 사용법 정리 2. Feelings(느낌, 주관) - objectMapper 역시 평소에 자바에서 JSON형태의 문자열과 객체를 변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만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정의를 내려보고 spring boot에서 어떻게 사용될까 고민했더니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알게 됐습니다. JSON 객체는 무엇인지,직렬화와, 역직렬화는 무엇인지, JACKSON 라이브러리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3. Findings (배운 점) - objectMapper 사용법 정리 https://escapefromcoding.tistory.com/341 2021. 8. 12. TIL_210805 1. Facts(사실, 객관) - http vs www - fast campus 강의 2. Feelings(느낌, 주관) - http와 www의 개념을 정리했습니다. 기존에 REST API를 다시 정리하고 분석하면서 다시한번 블로그 작성의 중요성과 소중함을 느꼈습니다. 대충 알고있는 개념을 다시 정리하면서 내가 모르고 있던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시 각인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http와 www, internet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고민해보았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텍스트를 보고 이해하려했는데 오히려 어려웠습니다. 사진과 예시를 통해서 이해를 하니 한결 이해가 편했습니다. 그리고 사진과 함께 글을 정리합니다. 3. Findings (배운 점) - HTTP vs WWW https://escapef.. 2021. 8. 12. TIL_210804 1. Facts(사실, 객관) - javascript 반응속도 강의 2. Feelings(느낌, 주관) - 간단한 게임을 만들면서 새로운 es6문법과 구현능력을 배우는 것이 즐겁습니다. 이번에는 reduce 에 대해서 배웠으며, 이를 이용해 누적 합을 구했습니다. 걸리는 반응속도 매 횟수마다 더하고 평균을 구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for문으로 돌리는 것보다 훨씬 간편하게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클릭을 통해서 색깔을 바꾸는데, 이벤트 클릭을 할때 중복 클릭을 막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항상 방어적인 코드를 잘 설계해야함을 느꼈습니다. 3. Findings (배운 점) - notion에 정리한 내용 https://www.notion.so/8-8d62b6ab875546b4bcba1a7e2984.. 2021. 8. 11. 이전 1 ··· 48 49 50 51 52 53 54 ··· 8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