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14

강의 후기 윤재성님은 다양한 언어로 다양한 강의를 찍어두어서 알고 있던 분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수강하였기 때문에, 스타일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특히, 기본내용을 찬찬히 잘 설명해주시고 템포를 조절해주셔서 좋았습니다. 장점은, 각 파트의 개념을 간단히 소개하고 코드로 실습을 합니다. 입문서에 가깝기 때문에 nodejs를 잘 몰라도 아무런 무리없이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 목소리 톤과 중간중간 코드 확대 등이 초보자가 따라가기에 편하고 안정적입니다. 모듈 설정하기, 라우팅 설정, html 랜더링, db연동까지 큰 틀 개념을 빠른 시간 내에 습득할 수 있었습니다. 아쉬운 점은, 강의 자체가 오래되었다보니, 코드환경이 vs code가 아닌 nodeeclipse입니다. javascript는 무조건 v.. 2022. 1. 15.
node js 데이터베이스 이용하기 *개요 nodejs에 database를 연동해서 구동시켜봅니다. 단순히 서버에서 요청했던 내용들을 이제 직접 sql을 이용해서 저장하고 실행해봅니다. * 데이터 베이스로 조회하기 사용하고 싶은 데이터베이스를 dependencies에 등록합니다. 이번 실습에서는 mysql을 이용합니다. //index.ejs 이름 : 로그인 로그인 화면을 만듭니다. 여기서 로그인하는 user_name은 세션에 저장할 예정입니다. //controller.js app.post("/login", urlencodedParser, function(req, res){ var user_name = req.body.user_name; req.session.user_name = user_name; res.redirect("main"); }.. 2022. 1. 15.
node js 파라미터, 쿠키, 세션 이용하기 * 개요 앞 글에서 express를 이용해 nodejs의 라우팅, ejs 랜더링 개념을 배우고 실습했다. 이번 시간에는 단순 get요청이 아닌 파라미터를 이용한 POST 요청, 쿠키, 세션을 사용한다. 파라미터를 주고받는 방법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 form 객체에서 파라미터 이용한 POST 요청하기 express에서 파라미터는 request 객체를 통해 파라미터 추출이 가능하다. get 방식의 경우 query라는 객체안에 모두 들어 있다. post 방식의 경우 bodyParser 모듈을 이용해야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다. POST 요청은 GET과 다르게 body에 데이터를 담아서 이동한다. noe에서는 body를 이용할 수 있도록 body-parser 모듈을 새로 추가해야 한다. dependenc.. 2022. 1. 15.
node express 모듈 사용하기 * 개요 이전시간에는 node의 기본 모듈 사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node express 모듈을 사용합니다. 초기 설정부터 라우팅 ,html 랜더링, 동적 웹 페이지(ejs), 간단한 쿠키, 세션, 파라미터 사용법을 배웁니다. express의 핵심 요소를 간단히 구현해보면서 빠르게 개념을 익힐 수 있습니다. * 외부 모듈 사용하기 nodejs에서 제공하는 기본 모듈만 개발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noejs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소스가 공개되어 있다. 모듈은 http://www.npmjs.com 에서 검색한다. npm install ex) npm install arraylist node_modules 파일이 생성되고 arraylist 관련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npm init npm의 .. 2022. 1. 15.
node js 기본 모듈 *개요 node js 기본 모듈을 공부합니다. 모듈들은 npm의 express를 기반으로 package.json에 dependencies에 모듈들을 등록합니다.(하지만 기본 모듈이므로 따른 설정은 필요없습니다.) 원하는 파일에서 require() 를 통해 호출하면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강의에서는 많은 부분을 소개하였지만, 필요시에 추후 보기로하고 중요하거나 흥미롭다고 생각되는 부분들을 뽑았습니다. 1. assert deepEqual : 타입 무시하고 값이 같은지 검사한다. notDeepEqual : 타입무시하고 다른지 검사한다. deepStrictEqual : 타입 검사하고 모든 내용이 같은 객체인지 비교한다. notDeepStrictEqual : 타입 무시하고 다른 부분이 있는 객체인지 비.. 2022. 1. 15.
TIL_220114 1. Facts(사실, 객관) - NODE.JS -> TDD 주도개발 강의 ( HTTP 4가지 ) - 설치처 상세주소 일괄저장 로직 확인 - 설치메모 오류확인 - 연락처 일괄 저장 로직 확인 2. Feelings(느낌, 주관) 노드 강의를 들었습니다. tdd 주도 개발을 통해서 HTTP 4가지 GET, POST, PUT, DELETE를 했습니다. describe - it 구조로 이전에 자바 tdd를 했었던 기억이 있는데, node의 describe - it 기반이었다는 것을 알게됐습니다. 기본적인 HTTP 메서드 사용법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음에는 DB를 연동해서 해봐야 합니다. 설치처 상세주소, 설치메모, 연락처 일괄 저장을 확인했습니다. 중요한 것은 개인정보가 변경될 때는 꼭 히스토리 테이블에 이력.. 2022. 1. 14.
TIL_220113 1. Facts(사실, 객관) - 설치메모 일괄 저장 만들기 - 필터 통합건 관련 회의 - 일괄설치처 주소 로직 파악 2. Feelings(느낌, 주관) 설치메모를 완성했습니다. 이전에 메모가 있다면 계속 메모를 추가합니다. 이 때, 이미 메모가 있다면 update를 하고 처음메모라면 insert를 합니다. 따라서 merge into를 사용하도록 했습니다. 다음에도 비슷한 상황일 때 적용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필터 통합건에 관련한 회의를 했습니다. 필터를 하나로 통합하는데, IT는 필터 정보만 받아서 적용하면 되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필터를 바꿨을 때, 남은 재고는 어떻게 처리해야하는가? 라고 물어본다면, 재고는 폐기해야 적용이 가능합니다. 남은 필터를 경우에 나눠서 적용할 수 없기 .. 2022. 1. 14.
TIL_220112 1. Facts(사실, 객관) - nodejs tdd 기반 강의 - 휴면정보수정 2. Feelings(느낌, 주관) nodejs tdd 기반 강의를 들었습니다. 처음에 기본 mocha를 이용해서 어떻게 테스트 코드를 짜고 확인하는지 알았습니다. 자바에서 짰던 tdd와 비교하면서 공부할 수 있어서 좋았고, nodejs에서 mocha라는 것이 쓰인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잘못된 휴면 정보를 업데이트 했습니다. 휴면정보 스케쥴러가 중복으로 작동되면서 원치않게 데이터가 삭제되는 경우들이 있었습니다. 이전에 기록했던 정보들을 가지고 3. Findings (배운 점) 4. Action (구체적 계획) 새로운 기능을 만들었을 때, 개발환경에서 테스트를 했다고 해도 운영에서도 꼭 확인한다. 백업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 2022. 1. 12.
TIL_220111 1. Facts(사실, 객관) - 댓글 이벤트 유효성 설정 - 윤재성 nodejs 강의 2. Feelings(느낌, 주관) 윤재성 nodejs 강의는 처음 손쉽게 nodejs를 입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추천합니다. 물론, vscode가 아닌 eclipse 환경에서 이용할만큼 트렌드에 따라오지는 않지만, 간단하게 db를 연동하고 조회 및 삭제를 하는 작은 방명록도 만들어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다른 여러 강의를 통해서 기본 개념을 알아 갈 생각입니다. 댓글 이벤트 유효성 설정을 했습니다. 응모기간, 중복지원 여부, 로그인 여부 등을 검사하는 예외처리가 필요했습니다. 이전에 spring boot에서 하던대로 예외 핸들러를 만들고 전역처리 클래스를 통해서 처리했습니다. 기존에는 그냥 map을 리턴했지만, .. 2022. 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