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고

TIL_121227

코동이 2021. 12. 27.

1. Facts(사실, 객관)

 

- 배포문제

- jenkins 공부

- 도커강의 시작

 

2. Feelings(느낌, 주관)

 

jenkins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공부했습니다. jenkins에서 대표적으로 플러그인에서 Publish Over SSH를 설치합니다. SSH로 다른 서버를 접근시킵니다. 이제 시스템 설정에서 Publish over SSH에서 WAS, WEB 서버 정보를 입력합니다. 테스트환경에 각각 WAS, WEB 1개, 실제 운영에 WAS, WEB을 2개씩 추가합니다. 

 

Name은 식별되는 고유 이름이며, Hostname은 IP정보입니다. Username은 각 Terminal에 접속했을 때 나오는 계정명을 확인합니다. Remote Directory는 각 서버의 home 경로로서 cd ~로 설정을 많이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따로 지정해줄 수 있습니다. Test를 통해서 Success를 확인합니다. 

 

이후, 각 deploy 된 프로젝트를 확인합니다. 구성에 들어가서 소스코드 관리의 Subversion을 선택합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SVN URL을 연결하고 Credentials를 입력합니다. 발급받은 계정정보를 입력합니다. 

Build에서는 clean, install -P liv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Maven 기반이므로 clean이후 다시 install로 설치합니다. 

clean
install -P live



빌드후 조치에서는 Send build artifacts over SSH를 설치합니다. 특히 Transfers에 정보 입력이 필요합니다. 

 

Source files에는 target\hrc.admin.war로 target과 war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Remove prefix에서는 target을 제거합니다. 

 

Remote directory는 우리가 미리 만든 rental_admin/app입니다. 

 

Exec command의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cd /wasapp/rental_home/rental_admin/app
jar xvf hrc.admin.war
mv hrc.admin.war/ hrc.admin.war_$(date '+%Y%m%d_%H%M')/



app의 폴더로 이동해서, jar xvf로 war 압축을 푼 다음에, 현재 war파일을 저장하기위해 이동시킵니다.

 

3. Findings (배운 점)

반응형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_211229  (0) 2021.12.30
TIL_211228  (0) 2021.12.28
TIL_211223  (0) 2021.12.23
TIL_211222  (0) 2021.12.22
TIL_211221  (0) 202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