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DB

Oracle에서 NULL처리

코동이 2023. 10. 11. 23:17

개요


DB를 사용하다 보면 항상 NULL과의 싸움입니다. 언제 NULL 위험이 있는지, NULL의 위험이 있는 경우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정리합니다. (이 글에서 다루는 칼럼들은 NULL 허용입니다. 그래야 NULL 발생을 대비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

 

 

NULL이 발생하는 경우


NULL이 발생하는 경우는 크게 6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NULL 허용 칼럼의 값이 NULL일 때
  2. NULL과 조인
  3. 아우터조인에서 조인에 실패한 아우터 조인된 테이블의 칼럼 값
  4. 스칼라서브쿼리에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메인쿼리의 결과 값
  5. GROUP BY 절 없이 사용한 집계함수에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없을 때
  6. CASE 표현식을 이용한 컬럼 변환에서 처리에 누락되는 컬럽 값

 

NULL이 발생하는 경우 예제


 NULL이 발생하는 경우 예제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NULL 허용 칼럼의 값이 NULL일 때


 테이블 칼럼이 NULL 허용이라면 NULL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반드시 염두에 두고 처리합니다.

 

SELECT A.사원번호,
	NVL(A.기본수당액, 0) AS 기본수당액,
    NVL(A.특별수당액, 0) AS 특별수당액,
    NVL(A. 성과급, 0) AS 성과급
FROM 기타급여 A

 

 

2. NULL과의 연산


 NULL과 산술연산하면 NULL입니다. NULL은 알 수 없는 값이므로, 알 수 없는 값과 연산하면 NULL입니다. 함수 연산도 마찬가지므로 다음과 같이 연산이 필요한 경우 개별로 NULL 처리를 해야 합니다. (기본수당액, 특별수당액, 성과급이 모두 NULL 허용이라고 가정합니다.)

 

GREATEST(B.기본수당액, B.특별수당액, B.성과급) -- 하나라도 NULL이면 NULL을 리턴
GREATEST(NVL(B.기본수당액, 0), NVL(B.특별수당액, 0), NVL(B.성과급)) -- NVL처리를 통해 NULL 방지

 

 

3. 아우터조인 NULL


아우터조인에서 조인에 실패한 아우터조인된 테이블의 칼럼 값에는 적용할 수 있는 값이 없으므로 NULL입니다.

 

SELECT
    A.사원번호,
    A.사원명,
    B.월기본급 -- NVL(B.월기본급, 0)으로 수정
FROM
	사원 A,
    금액제급여 B
WHERE
	A.부서코드 = '20'
    AND A.사원번호 = B.사원번호(+)
ORDER BY
	A.사원번호

 

B를 A에 OUTER JOIN 했을 때, A에 존재하는 사원번호가 B에 없어 B.월기본급은 NULL을 반환합니다.

 

 

4. 스칼라 서브쿼리의 NULL


스칼라서브쿼리에서 해당하는 값이 없을 때, 메인쿼리의 결과는 NULL입니다.

 

SELECT
    A.사원번호,
    A.사원명,
    (
    SELECT B.월기본급 -- NVL(B.월기본급, 0)으로 수정
    FROM 금액제급여 B
    WHERE A.사원번호 = B.사원번호
    ) 월기본급
FROM 사원 A
WHERE A.부서코드 = '20'
ORDER BY A.사원번호

 

만약 사원 A 테이블에 존재하는 사원번호가 금액제급여 B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B.월기본급은 NULL을 반환합니다.

 

 

5. 집계함수의 NULL


GROUP BY 절 없이 집계함수를 사용할 때 조건에 해당하는 값이 하나도 없으면, 결과 값이 NULL인 로우 1개를 반환합니다.  적용할 수 있는 값이 없기 때문입니다. GROUP BY 절 있이 집계함수를 사용할 때 조건에 해당하는 값이 하나도 없으면 아무런 출력이 없습니다.

 

 COUNT함수는 절대 NULL을 반환하지 않습니다. 해당 데이터가 없어도 0을 반환합니다. 바꿔 말하면 COUNT를 제외한 집계함수는 모두 NULL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SELECT
    COUNT(*),
    COUNT(B.월기본급),
    COUNT(NULL),
    SUM(B.월기본급),
    MIN(B.월기본급),
    MAX(B.월기본급)
FROM 금액제급여 B
WHERE 1 = 0;  --무조건 항상 실패하는 SQL

 

COUNT(*) COUNT(월기본급) COUNT(NULL) SUM(월기본급) MIN(월기본급) MAX(월기본급)
0 0 0 NULL NULL NULL

 

COUNT는 어떠한 경우도 NULL이 아닌 0을 반환하며, GROUP BY가 없는 집계함수는 NULL을 반환합니다.

 

 

6. CASE 표현식 NULL


CASE 식에서 컬럼에 존재하는 모든 값에 대해 변환 처리해주지 않으면, 처리에 누락된 칼럼값은 NULL을 반환합니다.

 

SELECT
    원본컬럼값,
    CASE	원본컬럼값
    WHEN	'1' THEN '1.서울'
    WHEN	'2'	THEN '2.부산'
    END	변환컬럼값 -- ELSE '9.기타' 와 같은 처리가 필요
FROM (
    SELECT '1' 원본컬럼값 FROM DUAL UNION ALL
    SELECT '2' 원본컬럼값 FROM DUAL UNION ALL
    SELECT '3' 원본컬럼값 FROM DUAL
    )

 

원본컬럼값 변환컬럼값
1 1.서울
2 2.부산
3 NULL

 

3에 해당하는 CASE문이 없으므로 NULL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ELSE '9.기타' 와 같은 처리가 필요합니다.

 

 

NULL의 처리방법


  1.  NULL의 비교는 IS NULL, IS NOT NULL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2. NULL을 디폴트 값으로 치환할 때 NVL을 사용합니다
  3. 나머지는 CASE로 처리합니다. (DECODE는 복잡해질 수 있으므로 CASE가 편함)

 

  • [퇴사일자]가 2011년 12월 1일인 데이터 찾기(NULL 허용)
SELECT * FROM 사원
WHERE 퇴사일자 = TO_DATE('20101201', 'YYYYMMDD')

 

  • [퇴사일자]가 2011년 12월 1일이 아닌 데이터 찾기(NULL 허용)
SELECT * FROM 사원
WHERE (퇴사일자 <> TO_DATE('20111201', 'YYYYMMDD')
		OR 퇴사일자 IS NOT NULL)

 

'<>'은 NOT NULL인 데이터 중에서 출력하므로 꼭 IS NOT NULL 검사를 추가해야 합니다.

 

  • <기타급여>의 [성과급]과 <급여지급>의 [성과급]이 같은 데이터 찾기
SELECT
	*
FROM
    급여지급 A,
    기타급여 B
WHERE
	... 
AND	((A.성과급 = B.성과급)                      --NOT NULL 비교
OR	(A.성과급 IS NULL AND B.성과급 IS NULL))    --NULL 비교

 

NULL = NULL은 UNKNOWN을 반환하므로 급여지급 혹은 기타급여 테이블에 하나라도 NULL이 있으면 제대로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NOT NULL인 경우와 NULL인 경우 2가지를 모두 비교해야 합니다.

 

  • <기타급여>의 [성과급]과 <급여지급>의 [성과급]이 다른 데이터 찾기
SELECT
	*
FROM
    급여지급 A,
    기타급여 B
WHERE
	... 
AND	((A.성과급 <> B.성과급)
	OR (A.성과급 IS NULL AND B.성과급 IS NOT NULL)
    OR (A.성과급 IS NOT NULL AND B.성과급 IS NULL))

 

NOT NULL, NULL 상황을 모두 고려해 정밀하게 조건을 만들 수 있습니다.

 

SELECT
	*
FROM
    급여지급 A,
    기타급여 B
WHERE
	... 
AND	NVL(A.성과급, 0) <> NVL(B.성과급, 0)

 

 만약 성과급의 NULL과 0이 같은 개념이라면, NVL을 이용하면 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NULL과 0을 다른 개념으로 정의하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집계함수와 NULL 처리의 조합
SELECT 부서코드,
    NVL(COUNT(*), 0) 사원수,       --COUNT(*)
    NVL(SUM(월급여), 0) 월급여     --SUM(월급여)
FROM 사원
GROUP BY 부서코드

 

COUNT(*)는 항상 NULL을 반환하지 않으므로 NVL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GROUP BY절에서 사용하는 집계함수 SUM(월급여)는 항상 NULL을 반환하지 않으므로 NVL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SELECT NVL(SUM(성과급), 0) 성과급합계
FROM 급여지급 A
WHERE A.급여월 = '201106'

 

 GROUP BY 절이 아닌 경우 집계함수를 사용하면 NVL을 사용합니다. 이 때 SUM(NVL(성과급 ,0)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불필요하게 모든 로우에 NVL처리를 하고 SUM을 처리하는 2가지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NVL(SUM(성과급), 0)을 사용하면 NULL인 경우 제외하고 계산하므로 1차 연산에서 끝납니다.

 

NVL(SUM(수당), 0) + NVL(SUM(성과급), 0)
NVL(SUM(수당 + 성과급) ,0)

 

아래 NVL(SUM(수당 + 성과급) ,0)로 계산을 하는 경우 수당 혹은 성과급 중 하나라도 NULL이라면 연산 결과는 무조건 NULL이므로 기대 값보다 더 적은 값을 반환하므로 꼭 개별적으로 NVL을 처리해야 합니다.

 

--해당 건이 없어도 NULL이라도 반환하는 MAX
SELECT NVL(MAX(이력순번), 0) + 1 이력순번
FROM 발령이력
WHERE 사원번호 = 100

--해당 건이 없으면 GROUP BY 때문에 아무것도 반환하지 못하는 MAX
SELECT NVL(MAX(이력순번), 0) + 1 이력순번
FROM 발령이력
WHERE 사원번호 = 100
GROUP BY 사원번호

 

위의 경우 집계함수를 사용하는데 GROUP BY가 없으므로 NULL을 반환하고 NVL 처리를 했으므로 정상적으로 이력 순번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경우 집계함수를 사용하는데 GROUP BY를 사용했습니다. GROUP BY 대상 자체가 없기 때문에 해당 쿼리문은 어떠한 행도 출력 할 수 없습니다.

 

 

출처


*SQL 컨셉 for ORACL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