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

TIL_210922

코동이 2021. 9. 22. 22:42

1. Facts(사실, 객관)

- 조인 강의 수강 및 정리

 

2. Feelings(느낌, 주관)

- 조인 또한 SQL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JPA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JPA에서 사용 주의점은 무엇인지 잘 확인해야 합니다. SQL에서 조인은 대부분 LEFT OUTER JOIN으로 해결했는데, 이번 기회에 외부조인과 내부조인을 다시 한번 잘 알 수 있었고, SQL과 ON절 차이점도 아는 시간이었습니다. 확실히 직접 코드를 작성해서 확인하니 훨씬 이해하기 좋았습니다.

 

3. Findings (배운 점)

 내부조인 조회는 현재 연관된 테이블이 있는 경우만 결과를 출력한다.

 

 외부조인은 현재 연관된 테이블이 없더라도 기준 테이블은 모두 출력되고 연관이 있는경우는 해당 테이블 칼럼이 추가되어서, 연관이 없으면 null을 넣어서 출력된다.

 

 세타조인은 카타시안 곱으로 양 테이블이 각각 한번씩 모두 매칭을 해서 출력한다. 만약 where절에 조건을 걸지 않으면 많은 경우에 중복되어 나온다. 

 

ON절을 이용해서 서로 연관관계가 없는 엔티티끼리 ON절을 사용해서 조회가 가능하다.

(특히 DB SQL 쿼리는 ON절에 각 테이블의 ID비교를 넣어주지만, JPA는 자동으로 넣어준다.)

 

- 조인 정리

https://escapefromcoding.tistory.com/414

 

4. Affirmation (자기 선언)

나는 기존에 알고있던 내용도 계속 복습하여 완전히 익히려는 사람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