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acts(사실, 객관)
- spring framework log 동작방식 공부
- spring jpa data 블로그 작성
- 프로젝트 로그 설정
2. Feelings(느낌, 주관)
log이슈가 터지고, 이 기회에 좀 더 스프링에서 log가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는지 공부했다. 생각보다 한눈에 들어오는 구조가 아니어서 좀 더 흥미를 가졌다. 로그 종류도 여러개이고, 단순히 로그는 "여러분 System.out.println()을 대체해주는 기능입니다!" 정도로 표현할 수 없었다. SLF4J 인터페이스의 존재와 브릿지 역할 및 각 로그의 등장과 차이점이 있었다. log4j, logback, log4j2의 존재 및 의존성 설정을 보았고, 손쉽게 spring boot에서 설정도 알아보았다. 구체적인 개념은 다음에 또 공부해야한다.
개인 프로젝트에서 로그를 설정했다. log4j2.xml을 이용하였고 spring boot의 강점을 이용해 starter-log4j2를 이용해 손쉽게 처리했다. 여러 블로그와 소개글에 알려준대로 log4j2.xml을 설정했는데 생각보다 잘 되지 않았다. 사실 이론으로만 공부하고 끝냈으면 또 나중에 까먹거나 기억이 오래 가지 않았을텐대, 직접 파일을 작성하고 고민하다보니 훨씬 배운게 많았다. log4-web 의존성도 추가했어야 했으며, 여러가지 로그 레벨을 설정할 때 <Loggers></Loggers>도 꼭 서서 안에 정의해야했다. 이런 내용은 계속 버전이 업데이트되고 개선되면서 조금씩 수정되는 부분으로 예상하는데, 결국 나는 일반 블로그 글이 아닌 공식 홈페이지에서 버전차이점이나 내용을 잘 살펴보아야한다는 의미이다. log4j 홈페이지에, 기존 spring framkework에서 어떻게 log4j2로, logback에서 log4j2로 어떻게 마이그레이션 하는지 친절하게 설명된 것도 확인할 수 있었고, 당연히 기본 설정법도 잘 나와있었다. 로그파일이 만들어지는 시간주기와 파일 수, 콘솔과 파일로 결과 도출 등 해당 설정들을 직접해보면서 익혔고, 좀 더 자세히 알기위해 글을 작성해야 겠다.
3. Findings (배운 점)
4. Affirmation (자기 선언)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_211220 (0) | 2021.12.20 |
---|---|
TIL_211216 (0) | 2021.12.17 |
TIL_211214 (0) | 2021.12.15 |
TIL_211213 (0) | 2021.12.14 |
TIL_211210 (0) | 2021.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