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acts(사실, 객관)
- JPA 페치조인 강의 및 정리
2. Feelings(느낌, 주관)
- JPA 페치 조인 강의를 들었습니다. 잠시 앞에서 배웠던 묵시적, 명시적 조인에 좀 더 심화되어 성능까지 잡을 수 있는 기술입니다. 열심히 듣다보니 페치조인도 즉시로딩인데 EAGER 전략과 무슨 차이일까? 일반 조인과는 무슨 차이일까? 비교하면서 들었더니 좀 더 이해가 쉽고 차이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페치조인을 통해 간단하게 쿼리할 수 있지만, 그 상황에 맞게 써야하니 토이프로젝트를 쭉 점검하면서 돌아볼 예정입니다.
3. Findings (배운 점)
페치조인과 일반조인의 차이는 페치조인은 연관 엔티티를 즉시로딩으로 함께 조회하고 일반조인은 연관 엔티티를 함께 조회하지 않는다. 따라서 LEFT OUTER JOIN은 EAGER, LAZY 로딩전략에 따라서 쿼리 발생 시점이 다르다. 또한 INNER JOIN은 연관 엔티티를 함께 조회하지 않는다. 하지만 페치조인은 EAGER, LAZY보다 우선순위가 높아서 먼저 적용되며 연관 엔티티까지 조회한다.
페치조인과 EAGER 로딩의 차이는 페치조인은 연관 엔티티 INNER 조인인 반면, EAGER 로딩은 연관 엔티티 LEFT OUTER JOIN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일반 EAGER 로딩은 기준이 되는 엔티티는 모두 조회되며 연관엔티티가 NULL로 채워질 수 있다.
- 페치조인에 관하여
https://escapefromcoding.tistory.com/461
4. Affirmation (자기 선언)
나는 이전에 배운 내용과 새롭게 배우는 내용을 계속 비교하면서 빈 개념을 채워가는 사람이다.
반응형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_211007 (0) | 2021.10.08 |
---|---|
TIL_211006 (0) | 2021.10.07 |
TIL_211004 (0) | 2021.10.05 |
TIL_211001 (0) | 2021.10.05 |
TIL_210930 (0) | 2021.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