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acts(사실, 객관)
- @Query 강의 듣기 및 정리
2. Feelings(느낌, 주관)
- JPA에서 columnDefinition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즘 여러 문법을 공부하면서, 항상 이것이 운영에 사용되 수 있을지 없을지를 고민하게됩니다. 왜냐하면,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많은 기능들이 있지만 생각보다 보안에 취약하거나 유효성 검사에 약한 기능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columnDefinition도 마찬가지입니다. 유효성 검사를 하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가 시스템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기능이 있다는 것만 유의했습니다.
3. Findings (배운 점)
columnDefinition으로 column이 생성될 때, default 값을 넣어줄 수 있다. 하지만, 보통 JPA를 사용할 때, ddl-auto를 사용하여 테이블과 정책들을 만들지 않는다. 별도의 DB에서 모든 정책을 만들어주고 JPA에 연동할 뿐이다. 따라서 columnDefinition은 DB 정책을 따라갈 뿐, 본인만 독창적으로 사용되는 일은 드물다.
columnDeifnition을 "deatetime(6) default null"로 설정했는데, nullable을 false로 설정하면 서로 충돌된다. 하지만 유효성 검사를 하지 않으므로 코드를 실행하는데는 아무 문제가 없다. 따라서, 해당 문법을 잘 사용하지는 않는다.
- columnDefinition 사용하기
https://escapefromcoding.tistory.com/431
4. Affirmation (자기 선언)
나는 새로운 기능과 문법을 공부할 때, 운영에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 사람이다.
반응형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_210930 (0) | 2021.10.05 |
---|---|
TIL_210929 (0) | 2021.10.05 |
TIL_210927 (0) | 2021.09.28 |
TIL_210922 (0) | 2021.09.22 |
TIL_210921 (0) | 2021.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