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acts(사실, 객관)
- 패스트캠퍼스 AWS/DOCKER 8일차 강의
- 고급매핑 상속관계 인프런 강의 듣고 정리
2. Feelings(느낌, 주관)
- JPA는 학습할 내용이 참 많습니다. 간단히 Spring JPA를 사용하는 건 쉽지만, 결국 다양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 내부의 작동원리를 알아야 합니다. 이번에는 자바에서의 상속관계가 DB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공부하였습니다. 3가지 방식이 있으며 규모가 크지 않다면 단일테이블을 만드는 것도 좋다. 혹은 조인전략으로 각각 테이블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차이점이 무엇인지 중점적으로 확인하면서 비교하니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또한 직접 코드로 작성하면서 공부하니 잘 기억에 남습니다.
3. Findings (배운 점)
JPA에서 상속관계는 DB에서 슈퍼타입 서브타입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아래처럼 명시해준다.
@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JOINED)
@DiscriminatorColumn(name = "DTYPE")
@DiscriminatorColumn은 부모 엔티티를 상속받은 각 자손 엔티티들이 어떤 종류인지 구분할 수 있도록 칼럼이름을 정한다. 이름도 식별자칼럼이다. 자손 엔티티에서 식별자 값을 넣으면 된다.
이제 상속으로 자손엔티티에서 사용할 수 있다.
@Entity
//@DiscriminatorValue("Album")
public class Album extends Item {
private String artist;
}
- 고급매핑 - 상속관계 정리
https://escapefromcoding.tistory.com/395
4. Affirmation (자기 선언)
나는 새로 배운 내용을 직접 코딩하면서 실습하여 내것으로 만드는 사람이다
반응형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_210916 (0) | 2021.09.16 |
---|---|
TIL_210914 (0) | 2021.09.14 |
TIL_210901 (0) | 2021.09.01 |
TIL_210831 (0) | 2021.09.01 |
TIL_210830 (0) | 2021.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