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acts(사실, 객관)
- 캡틴판교 vue 기초강의 완강
- spring boot에 jsp 연동하기
2. Feelings(느낌, 주관)
- 캡틴판교님의 vue 기초강의를 끝마쳤습니다. 기초강의라 그런지 굉장히 천천히 반복해서 잘 설명해주셨습니다. SPA 형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아닌 cdn을 통해서 Vue() 인스턴스를 직접 생성하고 만드는 것을 찬찬히 하면서 vue에 대한 진입장벽을 많이 낮췄습니다. 문서화도 굉장히 잘 되어있고 정리도 잘해두셔서 열심히 파다보면 금방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이 듭니다. 스터디를 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 나태해지고 게을러지지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자기계발이라는 측면에서 열심히 공부하고 기록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 노력하려고 합니다. 이후 관련된 개념들을 정립하고 이해하고 프런트 생태계를 잘 알면 react도 도전해보고 싶습니다.
- spring boot에 jsp를 연동해보았습니다. 사실, jsp는 spring boot에서 jar 파일 생성에서 이슈가 발생해서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타임리프나 머스타치를 사용하는데 회사에서 사용하는 jsp와 환경을 맞춰본다는 느낌으로 해보았습니다. 역시나 강력한 설정도구가 있어서 jstl, embedded tomcat을 의존성에 추가하고, PREFIX와 SUFFIX를 application.yml에 설정하니 경로설정이 끝났습니다. 보통 viewResolver를 통해서 빈에 등록하고 설정해야하는 과정들이 너무 쉽게 완료된 것입니다. security를 jsp를 연동했을 때 잘 이용해보는 프로젝트를 해보려고 합니다.
3. Findings (배운 점)
*VUE 강의 Notion 정리
axios( HTTP 통신 )
https://www.notion.so/HTTP-axios-adaaf3580caf467382817b0652bb7b14
템플릿 문법 - 기본
https://www.notion.so/467ef8d311be4ac6b9fb0ab56350c6ae
템플릿 문법 - 실전
https://www.notion.so/5670ac9a99a1447e9464e60285960b02
*Spring Boot에 JSP 추가하기
1. 의존성을 추가합니다.
compile('org.apache.tomcat.embed:tomcat-embed-jasper')
compile('javax.servlet:jstl')
JSP와 그에 따른 문법인 JSTL을 추가해야 합니다.
2. application.properties 설정
spring.mvc.view.prefix=/WEB-INF/views/
spring.mvc.view.suffix=.jsp
src/java/webapp/WEB-INF/views/index.jsp
위처럼 경로가 지정되어야 합니다.!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_210725 (0) | 2021.07.27 |
---|---|
TIL_210723 (0) | 2021.07.27 |
TIL_210721 (0) | 2021.07.23 |
TIL_210720 (0) | 2021.07.21 |
TIL_210719 (0) | 2021.07.19 |